EdGe2016년 1월 28일
test
EdGe2016년 1월 28일
fttes
핫한헌이2016년 1월 28일
밤의꽃 보도방의 실상이 그대로 담아있는 펙트소설
핫한헌이2016년 1월 28일
강지민발 밤의길목에서도 파워있고 괜찮구만
핫한헌이2016년 1월 28일
20년이 지났지만 다시봐도 괜찮은 명작중에하나 프라이멀피어 그나저나 리차드기어 정말젊었을때내.....
서정연2016년 1월 28일
저기 분수를 어떻게 풀면 이에이 플 구디는 24가 나오잖아요 저 부분이 이해가 안가는데 설명 부탁드려요ㅜㅜ
ㅇㄹㅀㅎ2016년 1월 28일
ㅋㅋㅋㅋㅋ핵노답이네
발버둥쳐봐라 니가
핫헌이2016년 1월 28일
만수동의밤은 깊어만간다
윤윤기2016년 1월 28일
점P의 y좌표를 알기위해 분수함수에 2를 대입하면 y=3/2가 나옵니다. 따라서 P(2, 3/2)입니다.
점Q의 y좌표는 점P의 y좌표와 같으므로
Q(a, 3/2)입니다. 이점을 y=-2x에 대입하면
a=-3/4가 나옵니다. 따라서 답은 3번입니다~

낯선 그래프일수록 당황하지말고 그 그래프를 지나는 점의 좌표를 표시하는것이 우선입니다^^
윤윤기2016년 1월 28일
음....질문자님이 올려주신 게 풀이그대로 쓰신거라 그게 나오는게 맞구요
다른 방법으로 풀자면 an이 등차수열이면 그 합들도 등차수열을 이룹니다. 즉 a1~a10까지의 합, a11~a20까지의 합, 그리고 a21~a30까지의 합 이 셋의 값 또한 등차수열을 이룹니다.
따라서 a1~a10(S10이죠)의 값은 120 , a11~a20의 값은 320(S20-S10)입니다. 즉 두 값은 차이가 200이므로 그 다음 항인 a21~a30까지의 합은 520이 됩니다.
따라서 S30=120+320+520해서 960이 나오는 방법도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점은 S10, S20, S30이 등차수열을 이루는것이 아니라 a1~a10, a11~a20, a21~a30이 등차수열을 이룬다는 것입니다. 덧붙여 말하자면 수열의 가장 기본은 '나열하기'입니다. 어려운 문제일수록 나열하는 경우가 공식보다 더 간단할 경우가 많습니다~^^

AI 상담